질병코드 번호·분류 찾는 방법(진단서, 보험청구)

병원 진단서, 보험청구 등에 사용하는 질병코드번호/분류 찾는 법

 

살다보면 자신이 원하든 원하지 않든 각종 사고를 당하거나 질병에 시달리게 되는데요. 보통 그럴 때를 대비해서 민간보험사에 건강보험이나 상해보험 등을 한두 개 이상은 들어놓습니다.

 

혹여 사고나 질병으로 병원에서 치료를 받은 뒤 자신이 가입한 보험사에 보험금을 청구하기 위해서는 병원에서 진단서를 발부 받아서 보험사에 제출해야 하며, 보험사는 보험계약자가 제출한 병원 진단서를 중심으로 심사 과정을 거칩니다.

 

이때 보험금을 정상적으로 지급 받기 위해서는 진단서에 표시된 질병코드 번호가 자신이 가입한 보험상품의 보장대상에 포함돼 있어야 합니다. 보통 보험 약관을 보면 보장 대상 질병 명칭과 분류번호가 함께 나오므로 어렵지 않게 찾을 수 있는데요.

 

만약 자신이 치료 받은 질병이 보험 청구가 가능한 질병인지 미리 알고싶으면 질병코드를 알아야 하므로 이럴 때는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질병코드 번호나 분류를 찾아보시면 편리합니다.

 

참고로 진단서나 보험약관에 쓰이는 질병코드는 통계청에서 작성하는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를 이용하므로 이 분류표를 통해 해당 질병코드를 손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먼저 질병코드번호나 분류를 찾으려면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를 관리하는 통계청 홈페이지를 찾아가야합니다. 아래처럼 포털사이트 검색을 통해 통계청에 접속하세요.

 

통계청 홈페이지가 나오면 아래 그림처럼 빨간 동그라미로 표시한 "통계분류포털" 메뉴를 클릭합니다.

 

통계청 통계분류포털을 보시면 경제, 사회, 보건 부문으로 나눠서 여러가지 분류 체계가 나오는데요. 그 중에서 우리는 질병코드를 찾아야 하므로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 메뉴를 클릭합니다.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 초기 화면입니다. 이용시 유의사항과 좌측 메뉴의 주요 기능 등에 대해서 간략하게 설명이 나옵니다. 관심 있는 분들은 읽어보시고 우리는 질병코드 찾는 것만 알아보겠습니다.

 

촤측 메뉴를 보시면 "소개, 검색, 연계표, 자료실" 메뉴가 나오는데요. 그 중에 "검색"을 클릭합니다.

 

검색 방법이 크게 3가지로 나뉘는데요. 가장 상단의 "분류검색" 메뉴를 통해 질병명(색인어)으로 손쉽게 검색이 가능합니다. 물론 반대로 질병코드로 질병명을 알 수도 있고요.

 

분류검색을 보시면 상단의 검색 옵션을 정해줘야합니다. 참고로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는 새로운 질병이 발견되면서 몇 년마다 개정이 되는데요. 여기서는 가장 최근(2011.1.1 시행)에 개정된 6차 개정을 중심으로 검색해보겠습니다.

 

검색을 정확하게 하기 위해서는 아래 화면처럼 "구분(분류코드/분류항목명)"과 "조건(포함검색/일치검색)"을 각각 선택해줘야하지만 단순히 질병 이름으로 질병코드를 찾을 때는 이 옵션들은 그대로 두셔도 무방합니다.

 

예를 들어 최근 한국인들 사이에서 급증하는 당뇨병 코드가 어떻게 되는지 찾아볼까요? "검색어" 항목에 "당뇨"를 넣은 다음 우측의 "검색" 버튼을 누르시면 아래처럼 당뇨가 들어간 질병코드(분류코드)가 쭈욱 나옵니다.

 

참고로 알파벳 하나와 숫자 두 자리로 이루어진 중분류(E10 ; 인슐린 의존 당뇨병) 밑으로 E10.0, E10.1,.. 등의 소분류, 그리고 그 밑으로 E10.10, E10.11, ... 등의 세분류로 점점 세분화됩니다.(보통 진단서에는 E10.1 형태의 소분류가 표시됩니다.)

 

그 중에 분류코드가 E10인 "인슐린 의존 당뇨병"을 클릭해보시면,

 

아래처럼 해당 분류코드에 해당하는 한글-영문 명칭과 설명이 차례대로 나옵니다. 여기서 "설명(한글)" 항목을 보시면 <포함>과 <제외>가 나오는데요. <포함>에 나온 진단명(예시)은 E10에 속하는 병명이며 <제외>에 나온 진단명(예시)은 E10에 속하는 병명이 아니라는 의미입니다.

 

전체 질병코드 분류 내역을 보고 싶다면, 좌측 메뉴 중에 "검색 > 분류내용보기(해설서)"를 클릭하시면 아래처럼 팝업창이 뜨면서 대-중-소-세-세세분류로 내려가는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를 볼 수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지금까지 질병코드 번호와 분류를 찾는 방법이었습니다.